반응형

컴퓨터 26

🖥️ [컴퓨터구조] 예외(Exception)와 인터럽트 처리

[컴퓨터구조 목차 바로가기]4️⃣ 프로세서 구조와 동작 원리컴퓨터 시스템에서 예외(Exception)와 인터럽트(Interrupt) 는 CPU의 정상적인 명령어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특정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예외와 인터럽트는 CPU가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예외적인 상황에 반응하여 적절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이번 섹션에서는 예외와 인터럽트의 개념, 차이점, 처리 과정 및 현대 CPU에서의 최적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예외(Exception)와 인터럽트(Interrupt)란?✅ 1.1 예외(Exception)란?예외(Exception) 는 CPU 내부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서 오류 또는 특수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처리하기 ..

IT/컴퓨터구조 2025.03.13

🖥️ [컴퓨터구조] 데이터 해저드와 제어 해저드 해결 방법

[컴퓨터구조 목차 바로가기]4️⃣ 프로세서 구조와 동작 원리파이프라이닝(Pipelining)은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법이지만,명령어들이 겹쳐서 실행되면서 데이터 해저드(Data Hazard)와 제어 해저드(Control Hazard)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CPU가 잘못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불필요한 대기를 발생시켜 성능 저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이번 섹션에서는 데이터 해저드와 제어 해저드가 발생하는 원인과 이를 해결하는 다양한 기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데이터 해저드(Data Hazard)란?✅ 1.1 데이터 해저드 개념데이터 해저드(Data Hazard) 는 파이프라인에서 앞선 명령어의 결과가 아직 완료되지 않았는데, 뒤따르는 명령..

IT/컴퓨터구조 2025.03.12

🖥️ [컴퓨터구조] 파이프라이닝(Pipelining)의 개념

[컴퓨터구조 목차 바로가기]4️⃣ 프로세서 구조와 동작 원리현대 CPU는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파이프라이닝(Pipelining) 기술을 활용합니다.파이프라이닝은 명령어 실행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동시에 처리하는 기법으로,하나의 명령어 실행이 완료되기 전에 다음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이번 섹션에서는 파이프라이닝의 개념, 동작 원리, 성능 향상 효과, 문제점(해저드) 및 해결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파이프라이닝(Pipelining)이란?✅ 1.1 파이프라이닝의 개념파이프라이닝은 CPU가 여러 개의 명령어를 겹쳐서 실행하는 기법입니다.이는 공장에서 제품을 조립하는 컨베이어 벨트 방식과 유사합니다.💡 기본 실행 방식 vs. 파이프라이닝 방식 비교방식명령어 실행 순서순차 실행 (N..

IT/컴퓨터구조 2025.03.11

🖥️ [컴퓨터구조] CPU의 명령어 실행 과정 (IF, ID, EX, MEM, WB)

[컴퓨터구조 목차 바로가기] 4️⃣ 프로세서 구조와 동작 원리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명령어(Instruction) 를 처리하는 과정을 거칩니다.이 과정은 명령어 사이클(Instruction Cycle) 이라고 불리며,IF (Instruction Fetch), ID (Instruction Decode), EX (Execute), MEM (Memory Access), WB (Write Back) 의 5단계로 구성됩니다.이번 섹션에서는 CPU가 명령어를 실행하는 5단계 과정과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 그리고 현대 CPU에서의 최적화 기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CPU의 명령어 실행 과정이란?✅ 1.1 명령어 실행 과정 (Instruction Cycle)이란?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IT/컴퓨터구조 2025.03.10

🖥️ [컴퓨터구조] 데이터패스(Data Path) 개념

[컴퓨터구조 목차 바로가기]4️⃣ 프로세서 구조와 동작 원리컴퓨터의 프로세서(Processor) 는 데이터를 가져오고, 연산을 수행하고,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칩니다.이러한 과정에서 데이터가 흐르는 경로를 데이터패스(Data Path) 라고 합니다.데이터패스는 CPU 내부에서 명령어 실행을 위한 데이터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며,연산 장치(ALU), 레지스터, 멀티플렉서, 버스, 제어 신호 등의 요소로 구성됩니다.이번 섹션에서는 데이터패스의 개념, 주요 구성 요소, 동작 원리, 그리고 현대 CPU에서의 데이터패스 최적화 기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데이터패스(Data Path)란?✅ 1.1 데이터패스의 개념데이터패스(Data Path)란 CPU 내부에서 데이터가 이동하는 경로를 의미하며,명령어..

IT/컴퓨터구조 2025.03.09

🖥️ [컴퓨터구조] CPU 내부 구조 개요

[컴퓨터구조 목차 바로가기] 4️⃣ 프로세서 구조와 동작 원리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CPU는 단순한 연산 장치가 아니라 명령어 해석, 연산, 데이터 저장 및 전송,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이번 섹션에서는 CPU의 내부 구성 요소, 주요 동작 원리, 현대 CPU의 최적화 기법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CPU의 역할과 기능CPU는 컴퓨터의 "두뇌" 역할을 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 명령어 처리(Instruction Processing) →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 산술 및 논리 연산(Arithmetic ..

IT/컴퓨터구조 2025.03.08

🖥️ [컴퓨터구조] 연산 속도를 높이는 방법 (병렬 연산, SIMD, 벡터 연산)

[컴퓨터구조 목차 바로가기]3️⃣ 컴퓨터 연산 방식컴퓨터에서 연산 속도를 높이는 방법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특히 병렬 연산(Parallel Processing),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벡터 연산(Vector Processing) 기술은대량의 데이터 처리를 빠르게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이번 섹션에서는 연산 속도를 향상시키는 주요 기법, SIMD 및 벡터 연산의 개념, CPU 및 GPU에서의 활용 사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연산 속도를 높이는 주요 기법연산 속도를 높이는 방법은 하드웨어적 접근과 소프트웨어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기반 연산 가속파이프라이닝(Pipelini..

IT/컴퓨터구조 2025.03.07

🖥️ [컴퓨터구조] 부동소수점 연산 (IEEE 754 표준)

[컴퓨터구조 목차 바로가기]3️⃣ 컴퓨터 연산 방식컴퓨터는 실수(Floating Point Number)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연산할 수 있도록부동소수점(Floating Point) 연산 방식을 사용합니다.그러나, 실수를 이진수(Binary)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정확성 문제, 반올림 오류, 오버플로우/언더플로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IEEE 754 표준(IEEE Standard for Floating-Point Arithmetic) 이 정의되었습니다.이번 섹션에서는 부동소수점의 개념, IEEE 754 표준 형식, 연산 방식, 오차 문제, 그리고 실제 CPU에서의 부동소수점 연산 최적화 기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이란?..

IT/컴퓨터구조 2025.03.06

🖥️ [컴퓨터구조] 산술 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컴퓨터구조 목차 바로가기]3️⃣ 컴퓨터 연산 방식컴퓨터는 산술 연산(Arithmetic Operations) 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처리합니다.산술 연산은 덧셈(Addition), 뺄셈(Subtraction), 곱셈(Multiplication), 나눗셈(Division) 의 기본 연산으로 구성됩니다.CPU는 산술논리연산장치(ALU, Arithmetic Logic Unit) 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며,각 연산은 정수(Integer) 연산과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 연산으로 나뉩니다.이번 섹션에서는 컴퓨터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수행하는 원리와 연산 방식, 그리고 CPU에서의 실제 연산 수행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컴퓨터에서의 산술 연산 개요✅ 1.1 산술 연산이란?..

IT/컴퓨터구조 2025.03.05

🖥️ [컴퓨터구조] 프로그램 번역 과정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컴퓨터구조 목차 바로가기]2️⃣ 명령어와 컴퓨터 언어컴퓨터는 이진수(0과 1)로 이루어진 기계어(Machine Code)만 이해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사람이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언어(고급 언어, High-Level Language)는 알기 쉬운 문법과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따라서,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CPU가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번역 과정, Translation Process) 이 필요합니다.프로그램 번역에는 컴파일러(Compiler)와 인터프리터(Interpreter)라는 두 가지 주요 방식이 있으며,각 방식은 번역 방식, 실행 속도, 디버깅 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이번 섹션에서는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개념, 차이점, 프로그램 번역 과정, 그리고 실제 사용 사례를 자세히 ..

IT/컴퓨터구조 2025.03.02
반응형